은(Silver)이 100달러까지도 오를 수 있는 이유

2025. 8. 9. 23:07투자 이야기

반응형

2025년 은은 30% 수익률을 달성하며, 금과 비트코인보다도 더 좋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은의 상승이 여기서 멈추게 될까요? 아니면 지금이라도 사야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은 시장에는 아래의 세 가지 강력한 상승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사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5년 연속 공급 부족 심화와 수요 증가

2. AI 혁명으로 인한 구조적 수요 폭증

3. 금-은 비율 100년 차트상 극한 저평가

각 사항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년 연속 공급 부족 심화와 수요 증가

공급 측면의 구조적 문제들

2024년과 2025년 글로벌 은 공급 상황을 비교해보면 수급의 구조적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ilver Institute의 World Silver Survey 2025에 따르면, 2024년 총 공급량은 1,015.1백만 온스로 전년 대비 2% 증가했지만, 광산 생산량은 819.7백만 온스로 겨우 1% 증가에 그쳤습니다.

 

2025년 전망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총 공급량은 1,030.6백만 온스로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광산 생산량은 835.0백만 온스로 2% 증가에 그칠 전망입니다. 재활용은 2024년 193.9백만 온스에서 2025년 193.2백만 온스로 거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은 생산의 80%이상을 광산 생산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은의 생산량이 의미있게 증가하려면 광산 생산량이 증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단 기간내에 광산 생산량을 늘리거나 새로운 광산을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나 현재 은 생산의 대부분이 납/아연, 금광의 부산물로 이루어지다 보니, 은 가격이 아무리 올라도 즉시 공급을 늘리기 어려운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습니다.

 

재활용 공급이 193.9백만 온스로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마저도 전체 공급량의 19% 수준에 불과합니다.

수요의 폭발적 증가

 
 

공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수요는 오히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전자/전기 부문의 은 수요가 445.1백만 온스로 20%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수요 급증의 배경에는 AI와 반도체 혁명이 있습니다. Insight Ace Analytic의 분석에 따르면, AI 서버 GPU 시장은 2024년 214억 달러에서 2034년 3,012억 달러로 연평균 30.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도체 시장 전체로는 2030년까지 1조 달러 규모에 도달할 전망입니다. 은이 이 혁명의 핵심에 있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은은 가장 뛰어난 전기 전도성을 가진 금속이기 때문입니다.

재고 고갈의 현실

Silver Institute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이용 가능한 유동 재고"에서 11억 온스 이상이 소진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연간 광산 생산량을 훨씬 초과하는 규모이며 공급 측면의 부족에 더 힘을 실어주는 상황입니다.


금-은 비율 차트상의 저평가

금-은 비율 분석은 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역사적으로, 금의 가격이 오른 뒤에는 은의 가격도 순차적으로 오르며 하나의 싸이클을 만드는 패턴을 보여왔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과거 100년의 금/은 비율 차트입니다.

위의 차트를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 금-은 비율: 약 89-90:1 수준 (은 $37, 금 $3,300 기준)
  • 1971년 이후 평균: 약 55-65:1

이와 대비하여, 현재는 금-은 비율이 평균보다 30-40% 높은 상태로, 역사적 고점에 가까운 상황입니다. 즉, 금/은 비율이 역사적 고점에 가깝기 때문에, 그만큼 은 가격은 금 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있는 상황인 것입니다.

과거의 금-은 비율과 금, 은 가격의 패턴 분석:

지금 부터는 과거 금과 은의 가격은 어떻게 변동해왔는지 차트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금과 은은 이자가 주어지지 않는 원자재 상품이기 때문에, 금과 은이 큰 상승이 있던 시기는 항상 미국의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인 상태였습니다. 이 때문에, 금과 은의 가격을 확인 할 때는 항상 미국의 실질금리 차트를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배경 지식과 함께 아래에서 시기 별 패턴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좌: 미국 실질금리 우: 금/은 비율,

1970년대 후반은 미국이 심한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마무리하고 다시 급격한 금리 인하를 했던 시기입니다. 이 시기, 급격한 금리 인하로 인해 미국의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 크게 하락하였습니다.이때 금과 은은 큰 상승을 맞이하게 됩니다. 더 놀라운 것은 다음입니다. 1980년 은의 투기적 광풍과 함께 금/은 비율이 크게 하락하며 은은 금의 가격 상승을 크게 상회하여 오르게 됩니다.

캔들 차트: 은 가격, 붉은 실선: 금 가격
 

2️⃣ 2000년 대 (금 ETF 채택 시기)

 
좌: 미국 실질금리 우: 금/은 비율,

1980년대 초반 큰 상승 싸이클을 겪은 금과 은은 한동안 투자 시장에서 외면 받았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 금 ETF 도입과 함께 새로운 국면에 들어서게 됩니다. 금 ETF 도입과 함께 금 시장에 자금이 유입되기 시작했으며, 2003년-2006년, 그리고 2007년-2008년 미국의 실질 금리가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시기였습니다. 이렇게 2000년대는 금과 은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특히나 주목할 것은 2006년-2008년 금/은 차트가 크게 하락하며 이 시기 은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앞서 살펴봤던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과 유사한 패턴입니다.

 

3️⃣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8년 금융 위기 이후에 또 다시 같은 일이 반복됩니다. 미국의 실질 금리가 다시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었고, 금의 상승 이후 금/은 비율이 크게 하락하며 은은 엄청난 상승을 하게됩니다.

좌: 미국 실질금리 우: 금/은 비율
좌: 미국 실질금리 우: 금/은 비율
 

4️⃣ 2020년 코로나 쇼크, 그리고 2025년 현재

그리고 2020년 코로나 쇼크 이후, 2000년대 초반과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0년 미국의 실질 금리가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며 금 값이 상승하고, 이후 금/은 비율이 하락하며 은값이 크게 올랐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미국의 실질금리는 플러스에 머물고 있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하 압박으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로 다시 전환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편 금/은 비율은 여전히 90 수준에서 머물며 은은 금 대비 상대적 저평가되고 있습니다.

 
과거와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면, 2008년 이후의 금의 상승, 그리고 은의 폭발적 상승이 반복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 패턴의 분석 결과, 현재의 상황은?

위와 같이 같은 패턴을 살펴 본 결과, 현재의 상황은 아래와 같이 요약 할 수 있습니다.

  • 금-은 비율이 100 이상까지 도달했던 것은 드문 상황 (2020년, 1990년대 후반, 2025년만 기록)
  • 실질금리는 여전히 2.17%로 마이너스 추세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음
  • 은은 금의 가격 추세와 유사하게 움직이며, 금의 상승은 항상 실질금리 마이너스 추세가 확실할 때 나타남.
  • 따라서 여전히 은은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음.

금-은 비율에 따른 목표가 시나리오 (금 $3,300 기준)

 

그렇다면 금-은 비율의 역사를 고려하였을 때 은의 목표가는 어떻게 될까요? 현재 금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 보수적 (비율 70:1): 은 목표가 $47
  • 평균 회귀 (비율 60:1): 은 목표가 $55
  • 급진적 (비율 45:1): 은 목표가 $73

하지만 금 역시 아직 싸이클 상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금이 현 기준보다 50% 가량 더 상승하여 $5000/OZ 까지 오른다고 가정해보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 보수적 (비율 70:1): 은 목표가 $70.5
  • 평균 회귀 (비율 60:1): 은 목표가 $82.5
  • 급진적 (비율 45:1): 은 목표가 $109.5

개인적으로는 이번에는 급진적 시나리오까지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 금과 은의 싸이클 뿐 아니라, AI/반도체 혁명으로 인한 구조적이고 산업 수요 증가가 함께 겹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