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8. 20:05ㆍ시장 현황 정리
1. Global M2 (글로벌 통화량)
현재 상황: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95% 이상으로 확산되면서 확장적 통화정책 전환점이 임박했습니다. Fed 금리 인하는 유동성 버블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처럼, 비트코인이 미국 M2 통화량과 100~200일 시차를 두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통화량 확대가 위험자산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리 인하싸이클 후반부에서 중앙은행들이 경기 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미국 고용지표 충격으로 글로벌 유동성 확대 압력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 WTI Crude Oil (유가)
현재 상황: **63.11달러 (+1.86%)**로 거래되고 있으며, 차트상 하락쐐기 패턴에서 소폭 반등하고 있습니다. 62-65달러 구간에서 중요한 기술적 분기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60달러 심리적 지지선 근처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고용지표 충격과 경기둔화 우려가 반영되면서 하방 압력이 있으나, 달러 약세가 상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횡보 구간이 길어질수록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 여력을 확대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하락추세선 하단에서 지지를 받으며 단기 반등 중이나, 65달러 돌파 여부가 추가 상승의 관건입니다.
3. DXY (달러지수)
현재 상황: **97.691 (-0.05%)**로 거래되며 97선 중반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차트상 장기 하락추세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96-100 박스권에서 재정립 중입니다.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95% 이상으로 상승한 상황에서 달러 약세 압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사이클 후반부에서 달러 약세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반영하며, 신흥국 자산과 원자재 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98선 저항과 96선 지지 사이에서 박스권 형성 중이며, 하방 돌파 시 95선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원달러 환율
현재 상황: **1,389.48원 (+0.24%)**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1,380-1,400원 박스권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차트상 장기 하락추세선 아래에서 횡보하며 DXY 약세와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이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외국인의 연이은 순매도와 세제개편 우려가 제한적인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큰 폭의 원화 강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1,390원 중심의 박스권에서 변동성 축소되고 있으며, 1,380원 하회 시 추가 원화 강세 가능성이 있습니다.
5. SPX와 NDX (미국 주식)
현재 상황:
- S&P 500: **6,481.50 (-0.32%)**로 사상 최고치 근처에서 조정 중
- 나스닥: **23,652.44 (+0.08%)**로 소폭 상승
차트상 S&P 500은 금리 인하 이후 상승 채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6,030-6,050 핵심 지지선을 견고하게 지키고 있습니다. 나스닥은 23,000선 위에서 안정적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미국 고용지표 충격이 9월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면서 기술적 하락 후 마지막 위험자산 랠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코스톨라니 달걀 B-C 구간에서 주식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기술적 분석: 두 지수 모두 상승 채널 내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지지선 방어 시 추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6. Gold (금)
현재 상황: **3,616.26달러 (+0.84%)**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력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차트상 완벽한 상승 채널을 형성하며 3,700달러를 향해 상승하고 있습니다. 연준 금리인하 기대로 실질금리 하락 전망과 함께 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이중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중앙은행들의 전례 없는 금 매입과 달러 약세가 금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며, 피보나치 확장 목표인 3,735달러까지 추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강력한 상승 채널 내에서 거래되며, 단기 목표가 3,700-3,750달러 구간입니다.
7. 미국채10년물 금리
현재 상황: **4.084% (+0.20%)**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차트상 장기 하락 채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기침체 우려와 연준의 완화정책 기대가 금리 하락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현실화될 경우 3.8-4.0% 구간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험자산 랠리 지속을 위해서는 4% 이하 안정적 진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술적 분석: 하락 채널 내에서 거래되며, 4% 하회 시 3.8% 목표까지 추가 하락 가능합니다.
8. 비트코인
현재 상황: **112,100.81달러 (+0.83%)**로 거래되며 8월 사상 최고치 124,501달러 대비 약 10% 조정받은 상태입니다. 차트상 상승 채널 내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지난 사이클 고점 연장선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110,000-118,000달러 박스권에서 변동성을 지속하고 있으며, 달러 약세와 통화량 확대 기대가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코스톨라니 달걀 B-C 구간에서 비트코인은 대체 통화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 역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상승 채널 내 중간 지점에서 거래 중이며, 118,000달러 돌파 시 125,000달러 재도전 가능합니다.
9. KOSPI
현재 상황: **3,219.59 (+0.45%)**로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200선을 안정적으로 회복했습니다. 차트상 장기 상승 채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3,000선 지지를 견고하게 지키고 있습니다. 외국인 매수세 유입과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세제개편 우려로 7월 고점 3,245 수준은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흥국 주식시장 상승세에 동참하며 글로벌 기술주 랠리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3,200선 회복 후 3,250-3,300선 도전 가능하나, 3,100선 지지선 방어가 중요합니다.
10. 공포탐욕지수 (VIX)
현재 상황: **15.47 (+1.84%)**로 여전히 낮은 변동성 구간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차트상 15-16 구간에서 횡보하며 표면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코스톨라니 달걀 B-C 구간에서 이러한 낮은 VIX는 마지막 위험자산 랠리 국면의 특징입니다. 연준 금리인하 기대로 시장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으나, 9월 FOMC 결과에 따라 급격한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15-20 구간에서 횡보 중이며, 20 돌파 시 본격적인 Risk Off 전환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차트 분석 결과 현재는 신중한 Risk On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의 강력한 상승과 주요 주가지수의 고점 유지가 긍정적이나, 비트코인의 기술적 저항과 유가의 약세가 주의 신호입니다. 9월 17일 FOMC가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시장 현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9월 5일 시황 분석 (2) | 2025.09.05 |
---|---|
2025년 9월 4일 경제 지표 분석: Fed 금리 인하 기대감과 달러 약세가 이끄는 마지막 위험자산 랠리 (0) | 2025.09.04 |
2025년 8월 26일 시장 현황 (4) | 2025.08.26 |
파월 잭슨홀 발언 후 시장 현황 및 전망 / 2025년 8월 25일 (2) | 2025.08.25 |
파월이 말하기 전 꼭 알아야 할 투자정보 9가지 (잭슨홀 특집) / 2025년 8월 21일 (1)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