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0. 13. 21:21ㆍ시장 현황 생각
📊 핵심 요약
현재 상황: Everything Rally 중반부, 조정은 매수 기회
위험자산 포트폴리오 현황 (10월 13일)
- 미국 S&P500: 6,552 (주간 -2.43%) - 무역갈등 주도 조정
- 한국 코스피: 3,585 (주간 +1.73%, 연초 +49.4%) - 상대적 강세
- 비트코인: 약 1.7억원 ($12만) - 박스권 유지
- 금: 4,017달러 (주간 +3.38%) - Everything Rally 지속
거시적 관점: 2020년 Everything Rally 패턴 재현?
Everything Rally란?
- 위험자산(주식) + 안전자산(금, 채권)이 동시 상승하는 현상
- 발생 조건: 풍부한 유동성 + 저금리 + 불확실성 + 신용 안정
현재 상황
- 2020-2021년 패턴과 유사 → 3-6개월 더 지속 가능
- 2026년 상반기 버블 정점 가능성
🎯 왜 "Everything Rally 중반부"인가?
근거 1: KOSPI 중장기 상승 추세 견고 ✅
코스피 추세 분석
2024.12월말: 2,399
2025.09월말: 3,425 (+42.8%)
2025.10.13: 3,585 (+49.4%)
10월 13일 변동: -0.7% (노이즈 수준)
해석
- 연초 대비 +49.4% = 강력한 상승 추세
- 10월 13일 -0.7%는 정상적 조정 범위
- 중장기 추세가 단기 변동보다 중요
역사적 비교
- 2020년: 코로나 후 연간 +65%
- 2021년: 사상 최고 3,300 달성
- 현재: 2020년 패턴과 유사
근거 2: VIX 21.66 = "경계" 수준이며 "공포" 수준 아님 ✅
VIX 수준별 의미
VIX | 의미 | 역사적 사례 | 대응 |
10-15 | 과도한 낙관 | 2021년 고점 | 경계 |
15-20 | 정상 범위 | 대부분 시기 | 홀딩 |
20-25 | 건전한 경계 | 2019년 여름, 2020년 중반 | 부분 차익 + 매수 준비 |
25-30 | 우려 | 2018년 무역전쟁 | 비중 축소 |
30+ | 공포/위기 | 2008 금융위기, 2020 코로나 | 대량 매도 |
현재 VIX 21.66
- "경계" 단계 = 건전한 조정
- "공포" 단계(30+)와는 거리가 멈
- 역사: VIX 20-25 구간에서 오히려 반등 多
결론: 패닉할 상황 아님
근거 3: Everything Rally 4대 조건 모두 충족 ✅
조건 | 2020년 | 2025년 현재 | 충족 여부 |
풍부한 유동성 | 연준 무제한 QE | 연준 완화 기조 | ✅ |
저금리 환경 | 제로 금리 | 10년물 4.03% → 하락 중 | ✅ |
불확실성 증가 | 코로나 팬데믹 | 미중 무역갈등 | ✅ |
신용 안정 | 연준 개입 | CDS 25bp, EMBI+ 302bp | ✅ |
현재 자산 가격 동향
- ✅ 금: +3.38% (주간) → 4,017달러
- ✅ 한국 주식: +1.73% (주간) → 연초 +49.4%
- ✅ 채권: 금리 -9bp → 채권 가격 상승
- (미국 주식은 단기 조정 중이나 추세는 유지)
결론: Everything Rally 진행 중
근거 4: 2020년 패턴과 유사 ✅
2020년 Everything Rally 타임라인
Phase 1: 폭락 (2020년 2-3월)
- S&P500 -32%, VIX 80+
- 극공포 → "세계 종말"
Phase 2: 초기 반등 (2020년 4-6월)
-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 VIX 80 → 30 급락
- Everything Rally 시작
Phase 3: 중반부 (2020년 7-12월) ⭐ ← 현재 위치 추정
- VIX 20-25 변동
- 금+주식+채권 동시 상승
- 단기 조정 반복하나 추세 유지
Phase 4: 버블 (2021년 1-3월)
- VIX <15 지속
- 코스피 3,300 사상 최고
- "절대 안 떨어진다" 컨센서스
현재 (2025.10.13)와 비교
지표 2020년 중반 2025년 현재 일치도
지표 | 2020년 중반 | 2025년 현재 | 유사 여부 |
VIX | 20-25 | 21.66 | ✅ |
Everything Rally | 진행 중 | 진행 중 | ✅ |
KOSPI 외국인 자금 | 순매수 | 누적 순매수 | ✅ |
금 가격 | 사상 최고 근접 | 사상 최고 | ✅ |
유동성 | 풍부 | 풍부 | ✅ |
유사도: 70% → Phase 3 중반부 추정
시사점
- 2020년 중반: 6개월 더 상승 → 2021년 초 정점
- 현재: 최소 3-6개월 더 지속 가능성
근거 5: 신용 리스크 = 매우 안정 ✅
주요 지표
지표 | 현재 수준 | 위험 기준 | 판단 |
한국 CDS | 25bp | 50bp | 🟢 매우 안정 |
EMBI+ | 302bp | 400bp | 🟢 안정 |
달러인덱스 | 98.98 | 100 | 🟢 안정 |
해석
- CDS 25bp = 한국 국가 신용 매우 우수
- EMBI+ 302bp = 신흥국 전체 안정
- 시스템 리스크 낮음
역사적 비교
- 2008년 금융위기: CDS 500bp+, EMBI+ 700bp+
- 2020년 코로나: CDS 80bp, EMBI+ 500bp
- 현재: 모두 안정 수준
결론: 금융 시스템 건전 → 지속 가능
🇰🇷 국내 시장 현황 분석
주식시장: 외국인 차익실현, 저가 매수세 유입
10월 13일 시장 리뷰
개장 (-2.4%)
- 미중 무역갈등 헤드라인 충격
-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10.9)
- 미국 추가 100% 관세 예고 (10.10)
중반 (하락폭 축소)
- 트럼프 유화 메시지
- "중국과 모든 것 잘 진행될 것"
- "중국 경제 불황 원치 않음"
- 저가 매수세 유입
종가 (-0.7%)
- 코스피 3,584.6 (-26.0p, -0.7%)
- 코스닥 860.5 (+1.0p, +0.1%) ← 플러스 전환
해석
"뉴스는 핑계, 실제는 차익 실현 + 저가 매수"
긍정 신호
- ✅ 개장 -2.4% → 종가 -0.7% = 1.7%p 회복
- ✅ 코스닥 +0.1% = 중소형주 바닥 확인
- ✅ 거래대금 증가 = 관심도 유지
채권시장: 금리 하락 = 경기 둔화 우려 + 연준 완화 기대
금리 동향 (BP = Basis Point)
국고채 3년: 2.59% → 2.55% (-4bp)
국고채 10년: 2.96% → 2.90% (-6bp)
미국 10년: 4.12% → 4.03% (-9bp)
아시아 주요국 동조화
- 호주: -7bp
- 대만: -5bp
- 싱가포르: -4bp
금리 하락의 2가지 해석
❌ 틀린 해석: "위험회피 = Risk Off"
✅ 올바른 해석: "경기 둔화 우려 + 연준 추가 완화 기대"
투자 시사점
- 금리 ⬇️ = 채권 가격 ⬆️ (채권 투자자 수익)
- 금리 ⬇️ = 주식 밸류에이션 ⬆️ (성장주 유리)
- 금리 ⬇️ = 기업 차입 비용 ⬇️ (기업 이익 개선)
역사적 선례
- 2019년: 금리 하락 → 주식 반등
- 2020년: 금리 급락 → 주식 폭등
외환시장: 외국인 매도 압력, 추세는 유입
환율 동향
원/달러: 1,421원 → 1,425.8원 (+4.8원, +0.3%)
주간: 1,407원 → 1,427원 (+1.40%)
KOSPI 외국인 투자 누적 (2025년)
월 주식 (억원) 채권 (억원) 합계
월 | 주식 (억원) | 채권 (억원) | 합계 |
5월 | +9,866 | +162,347 | +172,213 |
6월 | +17,715 | +214,875 | +232,590 |
7월 | +62,830 | +127,798 | +190,628 |
8월 | -15,047 | +42,023 | +26,976 |
9월 | +70,392 | +134,986 | +205,378 |
10월(누적) | +43,967 | +6,479 | +50,446 |
10.13(단일) | -10,966 | +15 | -10,951 |
해석
- 10월 누적 여전히 +5조 순매수
- 9월 +7조 대량 유입 후 차익실현
전망
- 외국인 순매수 재개 시 원화 재강세
- 1,400-1,430원 박스권 예상
🌍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미국: 무역갈등 vs 유화 메시지 줄다리기
주간 성과 (10.3 → 10.10)
국가/지수 주간 변동 평가
국가/지수 | 주간 변동 | 평가 |
미국 S&P500 | -2.43% | 단기 조정 |
유럽 Stoxx600 | -1.10% | 약세 |
중국 상해종합 | +0.37% | 선방 |
일본 닛케이 | +5.07% | 정치 안정 기대 |
한국 코스피 | +1.73% | 상대 강세 |
미국 하락 요인
-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 10.10 트럼프: 추가 100% 관세 +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
- 기술주 타격 (엔비디아 -3.5%)
- AI 버블 논란
- 빅테크 PER 30+ 부담
- 차익 실현 가속화
- 연방정부 셧다운
- 200만 명 무급 휴직
- 경제 데이터 신뢰도 저하
긍정 신호 (간과하면 안 됨)
✅ 트럼프 유화 메시지 (10.12)
- "중국과 모든 것이 잘 진행될 것"
- "중국 경제 불황 원치 않음"
- "중국을 돕고 싶다"
✅ 국방부 전략 광물 비축
- 희토류 등 10억달러 매입 계획
- 장기전 준비 = 협상 카드
✅ VIX 21.66
- 경계 수준 (공포 30+ 아님)
- 역사: VIX 20-25에서 반등 多
역사적 교훈: 2018-2019 무역전쟁
2018.07: 관세 전쟁 시작 → 공포
2019.08: 갈등 최악 → 코스피 1,909 (저점)
2019.09-11: 협상 재개 기대 → +10%
2019.12: 1단계 합의 → 급반등
유럽: 정치 불안 지속, 경제는 버티는 중
프랑스: 총리 사임 → 정국 혼란 일본: 공명당 탈퇴 → 엔화 약세 → 닛케이 +5.07%
한국 영향
- 선진국 정치 리스크 = 한국 자금 유입 가능
- 엔화 약세 = 한국 수출 경쟁력 개선
중국: 경기부양 vs 무역갈등 딜레마
정부 정책
- 과잉경쟁 기업 제재 강화
- 외국 투자 유치 강조
- 트럼프 발언에 강하게 반발
투자 시사점
- 중국 부양책 = 한국 수출 호재
- 무역갈등으로 효과 반감
- 구리 -4.21% = 유일한 약세 지표 (경기 둔화 신호)
⚡ 싸이클 투자 전략 제안
Risk On/Off 판단: Risk On 지속 (단, 변동성 증가)
지표 현재 기준 판단 주간 변화
지표 | 현재 | 위험 기준 | 현재 판단 | 주간 변화 |
VIX | 21.66 | 20/30 | 🟡 경계 | +30% |
EMBI+ | 302bp | 400bp | 🟢 안정 | +15bp |
달러인덱스 | 98.98 | 100 | 🟢 안정 | +1.28% |
한국 CDS | 25bp | 50bp | 🟢 매우안정 | +1bp |
외국인(누적) | +5조 | - | 🟢 유입 | 지속 |
종합 판단: 🟢 Risk On 지속 (단, VIX 20 돌파로 변동성 증가)
해석
- 5개 지표 중 4개 안정, 1개 경계
- VIX 21은 "공포" 아닌 "건전한 경계"
- 전반적으로 Risk On 환경
📅 주간 전망 및 주요 이벤트
이번 주 핵심 일정 (10월 14 - 20일)
10월 14일 (화)
- 미국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개최
- 연준 파월 의장 '경제 전망 및 통화정책' 연설
- 핵심: 완화 기조 재확인 여부
- 영향: 미국 주식 방향성 결정
10월 13일 (월)
- 미국-이집트 가자 평화 정상회의
- 중국 9월 수출입 데이터
주간 모니터링
- 외국인 순매수/순매도 추세
- 트럼프 추가 발언 (유화 vs 강경)
- VIX 추이 (18 회귀 vs 25 돌파)
- 코스피 3,500선 지지력
시나리오별 전망
📈 Bull/Bubble Case (확률 40-45%)
역사적 선례: 2020년 3월 → 2021년 초
트리거
- 트럼프+시진핑 협상 재개
- 연준 파월 "완화 지속" 재확인
- 외국인 3일 연속 1조+ 순매수
- VIX 18 이하 회귀
전개
Week 1-2:
미국 6,400 → 6,700 (+4.7%)
한국 3,500 → 3,700 (+5.7%)
Month 2-3:
Everything Rally 재가속
VIX <20 지속
Month 4-6:
미국 S&P500 7,000+
코스피 3,800-4,000
버블 초입 (VIX <15)
📊 Base Case (확률 40%)
역사적 선례: 2019년 여름~가을 박스권
트리거
- 미중 갈등 지속하나 협상 여지
- 외국인 소폭 순매수/매도 반복
- VIX 18-23 변동성 장세
- 경제 지표 호불호 엇갈림
전개
Week 1-4: 박스권
미국: 6,400-6,700
한국: 3,500-3,700
Month 2-3: 박스권 확대
미국: 6,200-6,800
한국: 3,450-3,750
Month 4-6: 돌파 or 이탈
📉 Bear Case (확률 15-20%)
역사적 선례: 2018년 10월 조정
트리거
- 트럼프 관세 실제 부과 (말→행동)
- 중국 강력 보복
- VIX 30+ 돌파
- 외국인 3일 연속 1조+ 순매도
전개
Week 1-2:
미국: 6,552 → 6,000 (-8.4%)
한국: 3,585 → 3,300 (-7.9%)
Month 2-3:
미국: 5,500-6,000
한국: 3,000-3,300
포트폴리오 대응
- ❌ 미국 6,200 이탈: 손절 (-20%p)
- ❌ 한국 3,400 이탈: 손절 (-15%p)
- ✅ 현금 비중 50%+ 확보
- ✅ 금 비중 20%+ 확대
확률이 낮은 이유
- 양국 모두 전면전 회피 의지
- 글로벌 유동성 여전히 풍부
- 역사: 결국 협상 타결
❓ 투자자 Q&A
Q1. 외국인이 1조 팔았는데 더 빠지지 않나요?
A: 아닙니다. 10월 누적 +5조 순매수입니다.
역사적 사례
- 2019년 8월: 단일일 대량 매도 → 9-11월 순매수 전환 → +10%
- 2020년 3월: 패닉 매도 → 6개월 후 +60%
Q2. VIX 20 넘었는데 전량 매도해야 하나요?
A: 절대 아닙니다. VIX 20은 "경계"이지 "공포"가 아닙니다.
VIX 기준
- 20-25: 건전한 경계 → 부분 차익 + 매수 준비
- 25-30: 우려 → 비중 축소
- 30+: 공포 → 대량 매도
역사
- 2019년 여름: VIX 20-25에서 오히려 반등
- 2020년 중반: VIX 20-25 → Everything Rally 시작
현재 VIX 21.66 = 패닉 불필요
Q3. 미중 갈등이 심각한데 주식을 사라고요?
A: 역사는 반대를 증명합니다.
2018-2019 사례
2019.08: 갈등 최악 → 코스피 1,909 (공포)
2019.12: 1단계 합의 → 2,100 (+10%)
당시
- 저점 매도: 후회
- 저점 매수: +10% 수익
현재
- 트럼프 유화 메시지 = 협상 의지
- 역사: 결국 타협
대응: 강경 뉴스 = 매수 기회
Q4. 금리가 내렸는데 주식에 좋은가요?
A: 중장기적으로 호재입니다.
단기 (1-2주)
- 금리 하락 = 경기 둔화 우려 → 주식 약세
중장기 (3-6개월)
- 금리 하락 = 기업 차입 비용 감소 ✅
- 금리 하락 = 주식 밸류에이션 상승 ✅
- 금리 하락 = 연준 추가 완화 기대 ✅
역사
- 2019년: 금리 하락 → 주식 반등
- 2020년: 금리 급락 → 주식 폭등
⚠️ 리스크 요인 모니터링
단기 리스크 (1개월 내)
🟡 중간: 미중 무역갈등 격화
- 트럼프 관세 실제 부과 시
- 하지만 유화 메시지 = 협상 의지
- 대응: 강경 뉴스에 패닉 금지
🟡 중간: 미국 셧다운 장기화
- 200만 명 무급 휴직 영향
- 단기 변동성 증가
- 대응: 중장기 무영향
🟢 낮음: 외국인 대규모 이탈
- 10월 누적 +5조
- 대응: 3일 연속 1조+ 순매도 시 재평가
중기 리스크 (3-6개월)
🟡 중간: 일본·프랑스 정국 불안
- 선진국 정치 리스크
- 오히려 한국 자금 유입 가능
- 대응: 관망
🟢 낮음: AI 버블 조정
- 현재 밸류에이션 합리적
- 버블은 2026년 이후
- 대응: 버블 징후 모니터링
장기 리스크 (6-12개월)
🟡 중간: 글로벌 경기 둔화
- 2026년 경기침체 가능성
- 대응: 2026년 상반기 경계
🟡 중간: 버블 붕괴
- VIX <15 지속 시
- 대응: 점진적 차익
📋 체크리스트
일일 모니터링
📈 Bull 신호 (추가 매수 기회)
- [ ] 코스피 3,450-3,500 조정
- [ ] S&P500 6,300-6,400 조정
- [ ] VIX < 18 회귀
- [ ] 외국인 3일 연속 순매수
📉 Bear 신호 (방어)
- [ ] VIX > 25 돌파 (경계 → 우려)
- [ ] VIX > 30 돌파 (위기 → 손절)
- [ ] 코스피 3,400 이탈
- [ ] S&P500 6,200 이탈
⚖️ 투자 경고: 본 분석은 투자 판단의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시장 상황은 급변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시장 현황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전망과 싸이클 투자 전략 분석 (2025.10.2) (0) | 2025.10.02 |
---|---|
거시경제 전망과 싸이클 투자 전략 분석 (2025.10.1) (0) | 2025.10.01 |
거시경제 전망과 싸이클 투자 전략 분석 (2025.9.30) (0) | 2025.09.30 |
거시경제 전망과 싸이클 투자 전략 분석 (2025.9.29) (1) | 2025.09.29 |
거시경제 전망과 싸이클 투자 전략 분석 (2025.09.26) (4) | 2025.09.26 |